티스토리 뷰

영화 <가위손>은 순수하지만 차갑고 날카로운 금속으로 만들어진 가위손 때문에 슬픈, 사랑 이야기다.
영화 <가위손>은 독특한 판타지 세계 속에서 외로움과 사랑, 인간의 편견을 그려낸 영화다.

 

 

팀 버튼 감독다운 영화 중 한 편이 바로 <가위손>입니다. 겨울이라는 시간적 배경이 너무나 멋지게 펼쳐지는 영화입니다. 영화 <가위손(Edward Scissorhands, 1990)>은 독특한 판타지 세계 속에서 외로움과 사랑, 인간의 편견을 가슴 아프지만 아름답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주연을 맡은 조니 뎁과 위노나 라이더의 서정적인 연기, 그리고 대니 엘프먼의 음악이 어우러져 한 편의 시처럼 느껴지죠. 

가위손 에드워드의 탄생과 외로움

영화는 발명가의 저택에서 시작됩니다. 심상치 않죠. 외딴 언덕 위의 어두운 성에서 살던 발명가는 외로웠기 때문일까요. 인간을 만들려다 마지막 손을 완성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납니다. 그 결과, 미완성 인간인 ‘에드워드’는 손 대신 가위를 가지고 태어나게 됩니다. 세상이 어떤 곳인지 모르는 지라 그는 순수하고 착하지만 그가 가진 ‘가위손’은 눈으로 보면 사실 섬뜩하죠. 그래서 세상과 손을 잡지 못합니다. 그의 손은 날카로운 금속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죠. 그래서 두려움의 대상이 됩니다. 하지만 그의 마음속은 누구보다도 따뜻합니다. 어느 날, 마을의 화장품 세일즈맨 ‘펙’이 언덕 위 성으로 올라가 에드워드를 발견하고, 그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오며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처음에는 마을 사람들도 호기심 어린 눈으로 그를 받아들입니다. 에드워드는 마을의 헤어디자이너가 됩니다. 가위손이 지나간 곳에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의 변화를 만족하는 마을 사람들이 있었고 또 그의 손이 정원의 나무를 스치면 예술 작품이 탄생했습니다. 하지만 곧 세상은 그의 다름을 견디지 못하고 점점 그를 ‘괴물’로 몰아갑니다. 좋다고 할 때는 언제고 마음에 좀 들지 않자 따돌리는 인간의 이기적인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납니다.

사랑의 시작과 상처의 깊이

에드워드는 펙의 딸 ‘킴’을 사랑하게 됩니다. 킴은 처음에는 그를 두려워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에드워드의 진심을 이해하게 됩니다. 그들의 관계는 말보다 시선과 행동으로 표현되며, 영화의 가장 아름다운 장면들이 이 시기에 등장합니다. 특히 눈 내리는 장면은 영화 역사에 남을 명장면 중 하나입니다. 에드워드가 얼음을 조각하며 하늘에서 눈송이가 흩날리고, 그 아래서 킴이 춤을 추는 장면은 순수한 사랑의 상징입니다. 이 장면에서 흐르는 음악은 관객의 감정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며, 그들의 사랑이 현실을 초월한 감정임을 느끼게 합니다. 하지만 그들의 행복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에드워드는 주변 사람들의 오해와 질투로 인해 점점 고립되어 갑니다. 결국 그는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기 위해 다시 언덕 위 성으로 돌아가게 되죠. 자신이 스스로 고립을 선택하면서 사랑하는 킴을 지킵니다. 그곳에서 그는 세상과의 마지막 인연을 끊으며, 눈처럼 차갑고도 슬픈 결말을 맞이합니다. 킴은 훗날 노년이 되어 손녀에게 이야기합니다. "Before he came down here, it never snowed." (그가 오기 전에는, 이곳에 눈이 내리지 않았단다.) 이 대사는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시적 은유입니다. 눈은 에드워드의 사랑이 남긴 흔적이며, 그의 존재가 세상에 남긴 순수함의 상징입니다. 사랑은 사라졌지만, 그 흔적은 여전히 세상을 아름답게 덮고 있다는 뜻입니다.

팀 버튼의 미학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

팀 버튼 감독은 이 작품을 통해 ‘다름을 받아들이는 용기’와 ‘인간의 본질’을 이야기합니다. 에드워드는 괴물로 보이지만 진짜 괴물은 오히려 그를 두려워하고 배척하는 사람들입니다. 왜냐하면 가위손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미워하거나 멀리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오히려 가위손에게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죠. 겉모습으로 사람을 판단하가 계산적으로 관계를 맺는 일이 많은 사람들이요. 그래서 타인에게 쉽게 상처를 주면서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합니다. 시각적으로도 이 작품은 팀 버튼의 정체성을 확립한 영화입니다. 어두운 성과 밝은 마을의 대비, 검정과 파스텔 톤의 색감은 단순한 미술적 장치가 아니라, 세상과 개인의 관계를 상징합니다. 현실은 따뜻해 보이지만 냉정하고, 고딕풍의 성은 차가워 보이지만 진실한 마음을 가진 가위손이 살고 있죠. 조니 뎁은 이 영화로 자신의 배우 인생을 새롭게 열었습니다. 대사보다는 표정과 몸짓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그의 연기는 감성연기라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에드워드라는 캐릭터를 하나의 상징으로 만들었습니다. 결국 이 영화는 팀 버튼 자신이 느꼈던 세상과의 거리감, 그리고 ‘이상함 속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작품입니다. 에드워드는 그의 또 다른 자아이자, 세상 속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모든 사람의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영화는 마지막까지도 희망을 남깁니다.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그 순수함은 세상을 변화시켰습니다. 눈은 그가 남긴 사랑의 흔적이며, 그것이 바로 ‘가위손’이 남긴 진짜 기적입니다. 멀리멀리 흩뿌려지는 작고 아름다운 눈이죠.

죽음, 사랑, 외로움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섬세하고 시적으로 그려내며, 세상에 어울리지 못하는 이들에게 조용히 위로를 건넵니다. 팀 버튼의 상상력과 인간애가 결합된 이 작품은 단 한 번의 감상으로도 마음 깊이 새겨지는 아름다운 명작, 쌀쌀해지는 날씨에 먼저 떠오르는 영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