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화 <65>는 6,500만 년 전 지구로 돌아간 주인공의 생존 탈출기를 그린 영화다.
영화 <65>는 과학 기술의 한계,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한다.

 

<65>는 2023년에 개봉한 공룡과 인간의 생존 이야기를 다룬 SF 스릴러 영화입니다. 감독은 스콧 벡과 브라이언 우즈이며, <쿼어트 플레이스> 시리즈의 각본을 쓴 경험을 살려 긴장감 있는 연출을 선보였습니다. 주연은 <스타워즈> 속 카일로 렌 역으로 잘 알려진 아담 드라이버가 맡았고, 아리아나 그린블랫이 함께 출연하여 작은 규모지만 강렬한 서사를 이끌었습니다. 영화는 우주에서 온 파일럿이 임무 중 사고로 낯선 행성에 불시착하면서 시작됩니다. 그러나 그곳은 사실 6천5백만 년 전 지구였으며, 공룡이 지배하던 위험한 세계였습니다. 여기까지 보면 영화 <혹성 탈출>이 생각납니다. 뭐, 어쨌든 그는 생존을 위해 미래 기술을 활용해야 했고, 동행한 소녀와 함께 끝없는 위협에 맞서 싸워야 했습니다. 영화는 단순한 공룡 액션에 그치지 않고, 생존 본능, 과학 기술의 한계,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하며 관객에게 생각할 거리를 던집니다.

최첨단 미래의 과학 기술, 과거로 돌아가면 무용지물

<65>는 2023년 개봉작으로, SF와 스릴러 장르가 결합된 독특한 작품입니다. 감독 스콧 벡과 브라이언 우즈는 기존에 <쿼어트 플레이스>로 공포와 긴장을 조율하는 능력을 인정받았으며, 이번 영화에서도 관객을 몰입시키는 연출을 선보였습니다. 주연 아담 드라이버는 깊이 있는 연기로 캐릭터의 고독과 생존 본능을 잘 표현했습니다. 아리아나 그린블랫은 어린 소녀 코아 역으로 등장해, 언어가 통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적인 유대감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었습니다. 줄거리는 우주 탐사 임무 중 사고로 시작됩니다. 파일럿 밀스(아담 드라이버)는 대형 운송선을 조종하다가 운석대와 충돌해 미지의 행성에 불시착합니다. 그는 곧 이곳이 단순한 외계 행성이 아니라, 6천5백만 년 전의 지구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이곳은 공룡이 지배하는 세계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위험을 견뎌야 했습니다. 밀스는 동행자 중 유일하게 생존한 소녀 코아를 발견하고, 함께 생존을 위한 여정을 시작합니다. 두 사람은 언어가 달라 의사소통이 쉽지 않았지만, 서로를 의지하며 탈출선을 찾아 이동합니다. 그러나 그 앞길에는 포식자 공룡, 위험한 자연환경, 시간과의 싸움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영화의 클라이맥스는 거대한 공룡과의 대결, 그리고 소행성이 지구로 다가오는 긴박한 순간입니다. 결국 두 사람은 모든 시련을 극복하고 미래를 향한 희망을 찾아갑니다. 이 영화는 단순히 ‘인간 대 공룡’의 액션에 머물지 않고, 생존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SF적 상상력과 결합시켰습니다. 특히 기술적 도구에 의존하면서도 자연의 위대함 앞에서 무력해지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며, 관객에게 여러 층위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만약 인류가 공룡과 같은 시대를 살았다면?

첫째, 시간적 배경입니다. 영화는 6천5백만 년 전, 공룡이 지배하던 시대를 배경으로 합니다. 실제 과학에서도 공룡은 약 2억 3천만 년 전부터 6천5백만 년 전까지 지구를 지배했습니다. 영화는 인간이 이 시기에 도착한다는 설정을 통해 ‘만약 인류가 공룡과 같은 시대를 살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흥미로운 상상을 펼칩니다. 둘째, 우주 기술과 생존 장치입니다. 주인공 밀스는 첨단 무기, 스캐너, 의료 장비 등 미래 기술을 사용합니다. 현실에서는 아직 이런 장비가 존재하지 않지만, 일부는 실제 과학 발전과 연결됩니다. 예를 들어 소형 휴대용 스캐너는 의료 기술의 발전과 닮아 있으며, 자동화 무기 시스템도 이미 군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다만 영화 속 장비는 매우 발전된 형태로, 현재로서는 불가능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일부 구현 가능성이 있습니다. 셋째, 소행성 충돌입니다. 영화의 중요한 배경은 바로 ‘소행성 충돌’입니다. 실제 과학자들은 약 6천5백만 년 전 거대한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해 공룡이 멸종했다고 추정합니다. 이 ‘멸종 사건’을 영화는 긴박한 드라마적 장치로 활용했습니다. 현실에서도 소행성 충돌은 인류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며, NASA는 이를 탐지하고 궤도를 바꾸기 위한 ‘DART 미션’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영화 속 설정은 단순한 허구가 아니라 과학적 사실을 기반으로 합니다. 넷째, 언어와 인간 관계입니다. 영화에서 밀스와 코아는 언어가 달라 대화가 불가능하지만, 서로 협력하며 생존합니다. 이는 단순히 드라마적 장치가 아니라, 인류 보편의 소통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과학적 장치와 무기가 아무리 발전해도, 결국 인간적인 신뢰와 유대가 생존의 핵심임을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생존 본능입니다. 영화는 인간이 과거 환경에서 살아남으려면 단순한 기술만으로는 부족하며, 끈기와 용기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줍니다. 

미래 기술과 원시 환경의 대비

<65>는 단순한 공룡 액션 영화가 아니라, 과학적 사실과 인간 드라마를 결합한 작품입니다. 영화는 공룡이 멸종한 실제 과학적 사건을 배경으로, 인류가 과거에 떨어졌다면 어떻게 생존했을지를 그렸습니다. 미래 기술과 원시 환경의 대비는 관객에게 색다른 긴장감을 선사하며, ‘과학이 인간을 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현실적으로 인간이 6천5백만 년 전 지구로 시간여행을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영화는 이를 가상의 설정으로 삼아, 소행성 충돌과 공룡 멸종이라는 과학적 사실을 새롭게 바라보게 만듭니다. 또한 첨단 기술의 한계를 보여줌으로써, 진정한 생존에는 인간적인 용기와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교훈을 남깁니다.

이 영화를 통해 공룡 멸종의 과학적 배경을 배우면서 동시에 인간의 끈기와 용기의 가치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65>는 화려한 블록버스터와 달리 간결한 이야기 속에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과학적 사실과 드라마적 상상이 어우러진 흥미로운 SF 영화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