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콜린 트레보로우(Colin Trevorrow)가 감독하고 에밀리 카마이클(Emily Carmichael), 콜린 트레보로우(Colin Trevorrow)가 각본을 맡은 영화 <쥬라기 월드 : 새로운 시작>. 콜린 트레보로우 감독은 2015년 <쥬라기 월드>로 시리즈를 재탄생시킨 장본인으로, 원작의 세계관을 현대적 감각과 블록버스터 연출로 재해석했습니다. 그래서 인지 상영관에서 보는 영화는 몸을 움찔움찔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번 작품에서 그는 과거 3부작의 감성을 살리면서도 ‘공룡과 인간의 공존’이라는 새로운 주제를 더했습니다. 시나리오를 맡은 에밀리 카마이클은 판타지와 SF 장르에 강점이 있으며, 긴장감 있는 대사와 속도감 있는 전개로 이야기에 힘을 불어넣었습니다.
전편과의 연결 줄거리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은 전편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의 결말에서 이어집니다. 폴른 킹덤의 마지막 장면에서 공룡들이 세상 곳곳으로 흩어져 인류와 같은 환경에서 살아가게 되었고, 이번 작품은 그로부터 4년 후를 배경으로 합니다. 안 그래도 '전 세계로 흩어진 공룡들은 어디로 가는 거지?'하고 궁금하기도 하고 두렵기도 했었 거든요. 인류는 이제 야생에서 공룡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시대를 맞이했고, 생태계는 전례 없는 혼란에 빠집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공룡과 교감, 그러니까 소통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잖아요. 그렇다고 애완동물처럼 길들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호랑이나 야생 동물처럼 자신들의 영역을 지키는 것도 아니니까요. 영화에서 오웬 그레이디와 클레어 디어링은 숨어 지내며 보호 중인 메이지 로크우드(인간 복제 소녀)와 오웬의 훈련을 받은 벨로시랩터 블루를 지키려 합니다. 그러나 메이지와 블루의 새끼가 유전자 조작 기업 바이오신(Biosyn)의 손에 납치되면서 이야기는 급격히 전개됩니다. 동시에 앨런 그랜트, 엘리 새틀러, 이안 말콤 등 원작 3부작의 주인공들이 다시 등장해 바이오신의 비밀 실험과 생태계 파괴 음모를 파헤칩니다. 결국 모든 인물들이 만나 협력하며, 인간이 만든 과학 기술이 통제 불능이 되었을 때 벌어질 재앙과 공존의 필요성을 그려냅니다.
유전자 조작을 통한 공룡 복원 실현 가능한가
이 영화의 핵심 과학 기술은 유전자 조작을 통한 공룡 복원 및 개량입니다. DNA 결손 부위를 다른 생물의 유전자로 대체하는 기법, 개체의 성질을 인위적으로 강화하는 선택적 유전자 편집, 그리고 복제인간 제작 기술이 등장합니다. 또한 기업이 이 기술을 독점해 생태계를 조작하려는 설정이 과학적 디테일과 결합돼 극의 긴장감을 높입니다. 영화 속 공룡 복원은 아직 실현 불가능에 가깝지만, 일부 기술은 현실 연구와 닿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멸종 동물 복원을 위한 ‘디익스팅션(de-extinction)’ 프로젝트가 실제로 진행 중이며, 매머드나 비둘기 복원 시도가 있습니다. DNA 손상 복구와 유전자 편집(CRISPR) 기술은 이미 가축 품종 개량과 병충해 저항 식물 개발에 쓰이고 있습니다. 복제인간은 법적·윤리적 이유로 금지되어 있지만, 복제 양 ‘돌리’ 이후 포유류 복제 기술은 확립되었습니다. 다만 공룡 복원을 위해서는 완전한 DNA 확보와 발달 생물학적 재현이 필요해, 현재로서는 부분적인 유전자 대체 동물(예: 닭을 공룡처럼 개량) 정도가 연구 가능한 수준입니다.
앞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점
첫째, 멸종종 복원은 생태계 교란 위험이 큽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기존 종과 경쟁해 생태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 둘째, 유전자 편집의 장기적 영향이 불확실합니다. 한 세대 후 예측 불가능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생물다양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셋째, 기술 독점 문제입니다. 이 내용은 생명과학이라는 분야에서는 늘 거론되는 문제점이긴 합니다. 소수 기업이 유전자 조작 기술을 독점하면 식량, 환경, 의약 분야의 권력을 장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넷째, 윤리적 합의 부족입니다. 특히 복제인간 연구는 인권과 종의 경계 문제를 야기합니다. 따라서 국제 규제, 생태 영향 평가, 공개 연구 체계, 윤리 위원회 설치 등이 필수적입니다. 이 영화에서 '공룡'의 유전자를 선택하는 인간의 욕심도 보이지만 유전자가 복원됐더라도 일간은 결코 정복할 수 없을 거라는 암시를 받는 건 저뿐일까요.
- Total
- Today
- Yesterday
- 과학영화
- 우주탐사
- 가을에보면좋은영화
- 인공지능
- 유전자복제영화
- 철학적영화
- AI윤리
- sf영화
- 과학과영화
- sf영화리뷰
- 스칼렛요한슨
- 양자역학영화
- 영화속과학
- 기술과인간
- 미래기술
- 시간여행영화
- 과학영화리뷰
- 과학과윤리
- 브루스윌리스
- 양자얽힘
- 웜홀영화
- 영화리뷰
- SF스릴러
- 스티븐스필버그
- 철학영화
- 가을영화
- VR기술
- 시간루프영화
- 영화와과학
- 영화추천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